본문 바로가기
정보

오로라(Aurora)란 무엇일까??

by 김건달밤 2020. 2. 13.

이 글을 보는 여러분들 중 북극 혹은 남극에 가보신 분들이 있을겁니다.
혹시라도 안가보셨더라 해도 너무 속상해 마세요. 이 글을 보면 조금이나마 만족을 하실거예요.
북극과 남극 하면 떠오르는 그것 오로라(Aurora)는 무엇일까요?
일단 그것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전 오로라라는 말에 유래에 대해서 먼저 배워봅시다.
오로라는 라틴어 aurora borealis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오로라는 바로 로마에 새벽의 여신의 이름이고, borealis는 그리스의 북극풍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오로라는 보통 선명한 초록색이고 이말고도 주황색 그리고 보라색
아주 드물게 빨강,분홍,파랑 그리고 노란색이 나타나기도 한다고합니다.
이렇게 이쁘고 다채로운 오로라의 색은 대기중에 있는 산소와 질소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가스로 인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오로라는 도대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앞으로 여행갈분들을 위해 알아봅시다!
복잡하게 말고 간단하게 기억하세요.
9월~4월 사이 청명한 하늘을 지닌 밤하늘이 어두운 새벽과 노을 사이 시간이라면
무조건 볼 수 있을거예요!
위에도 말씀 드렸는데 오로라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유래가 되었고 그 라틴어중 borealis라는 말은
그리스의 북극풍이라 말했죠??
이렇든 오로라는 대부분 북반구에 위치한 국가 거기서도 북위 60도 이상에 위치한 나라에서
볼 수있다고 합니다.(북극광)
어? 남극도 오로라가 있지않나요?? 하실 분들 네! 맞습니다.
위와 반대로 남위 60도 이상의 지역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남극광이라고 부른다고해요.
마지막으로 음..오로라 언제 어디로가면 보는지 알겠어요 근데 이게 도대체 어떻게 발생하는거죠?
궁금하시죠??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으로 인해 전자입자가 포함된 바람이 지구로 불어오는 것을 태양풍이라고 하는데요.
이때 전자입자가 대기권의 상층부의 공기와 맞다으면서 빛이발생하게 되는데
이게 여러분들이 보신 그리고 앞으로 보실 오로라 입니다!!